잠깐 자리 비울 때 컴퓨터 잠그기. 개인 폴더 만들기.

컴퓨터일반|2009. 6. 19. 17:47
반응형

사무실이나 가정집에서 컴퓨터를 공유하여(네트워크 공유 포함) 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아무래도 개인적인 자료가 노출 될 가능성이 있겠지요.
컴퓨터 한 대를 공동으로 사용할 때 개인적인 문서나 파일이 해당 컴퓨터를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을 방지하려면, 컴퓨터 사용자 마다 로그인 계정을 따로 만든 후 내 문서나 바탕화면에 개인 폴더를 만들어서 사용하면 됩니다. (개인 폴더는 사용자 프로필이 저장된 곳에서만 만들 수 있습니다. 바탕화면, 내 문서 -하위 폴더 등.)

사용자 계정을 추가하는 것은 시작 -제어판 -사용자 계정 - 새 계정 만들기 - 적당한 이름을 만들어주면 됩니다.
새 계정을 만들고 나면 이름을 클릭하여 암호만들기를 선택하여 암호도 만들어줘야 개인 폴더를 만들 수 있습니다.




내 문서를 통째로 개인 폴더로 만들어 보겠습니다. 바탕화면에 있는 내 문서 아이콘을 마우스 우측 버튼으로 클릭하여 공유 탭을 선택합니다. 그리고 바로 밑에 '이 폴더를 개인 폴더로 만듦'을 선택하고 확인을 눌러주면 바로 적용됩니다.

*바탕화면에 있는 내 문서 아이콘의 속성을 눌렀는데, 아래 그림처럼 '공유' 항목이 없을 때는 바로가기 아이콘이라 그런 것이니 이 때는 내 컴퓨터를 열고 현재 로그인 된 사용자의 문서 폴더를 선택하고 설정해야 합니다.*


사용자 계정에 암호를 사용하지 않고 있을 때는 이와 같이 경고 메시지가 나오게 됩니다.
이 때 '예'를 클릭하면 바로 암호를 만들 수 있는 사용자 계정 설정 화면으로 이동합니다.


너무 쉽지 않게 그리고 잊어먹지 않게 암호를 만들고 잘 기억해야 합니다. 암호를 만드는 것으로 개인 폴더에 관한 설정은 모두 끝이 납니다.
이제 개인 폴더로 설정된 내 문서는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했을 때만 문서나 자료가 보이게 됩니다.

간혹 사용자 계정만 따로 만들어 사용하면 다른 사용자의 자료는 볼 수 없는 것으로 생각하는 분들도 있는데, 대부분 새 계정을 관리자로 만들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 문서에도 전부 접근할 수 있습니다.


test라는 관리자 계정을 새로 만들고 위에서 만든 Owner의 문서(개인 폴더 설정 됨)을 열러고 시도하자 바로 액세스 거부 반응을 나타냅니다. 이런식으로 개인 폴더는 보호가 됩니다.
그 밑에 Owner의 문서 속성을 보면, 파일이나 폴더가 0으로 나타나고 용량도 0으로 표시되고 있습니다.


사용자 계정에 암호를 추가하면 컴퓨터를 처음 켜거나 로그오프를 시도할 때 마다 암호를 입력해줘야 해당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그러니 암호를 잊어버리면 안 되겠지요. 암호 꼭 기억해야  합니다.

* 개인 폴더로 설정된 폴더는 다른 컴퓨터에 붙였을 때도 접근하지 못합니다. 방법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어쨋든, 컴퓨터에 문제가 생겨 데이터 백업을 받아야 할 때는 먼저 개인 폴더 설정을 풀어줘야 합니다.

혼자만 사용하는 컴퓨터도 잠깐 자리를 비운다든지 할 때 다른 사람이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을 막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.  이 때는 시스템 대기 모드를 이용하면 되는데, 역시 사용자 계정에 암호를 만들어야 합니다.
디스플레이 등록 정보을 보면(바탕화면 빈 곳에 마우스 우측 - 속성) - 화면 보호기 - 전원 -전원 구성표에서 시스템 대기 시간을 적당히 조절해 줍니다.( 자리 비울 때만 대기 모드를 사용할 것이니 시간을 좀 길게 주는 것이 좋습니다.)



이제 고급 탭을 열고 옵션에서 '컴퓨터가 대기 모드에서 나올 때 암호 묻기'를 선택하고 확인을 누릅니다.


이제 시스템 대기 모드로 진입한 후에 시스템이 다시 깨어날 때는 무조건 사용자 암호를 입력해야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위에서 자리 비울 때만 시스템 대기 모드를 사용한다고 했었습니다.
잠깐 자리를 비울 때는 키보드의 윈도우 키와 영문자 L을 동시에 눌러주면(윈도우 키+L) 시스템이 즉시 대기 모드로 진입합니다. 시작 - 로그오프를 클릭해도 되구요.

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주의: 사용자 암호 잊어버리면 골치 아픈 일이 발생하니 꼭, 기억하세요.
반응형

댓글()